
아이를 키우다보면, 아이가 고열로 고생하는 일들이 종종 발생한다. 이런 경우 대부분 열을 내리기 위해 해열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해열제를 사용해도 열이 내리지 않는 경우 해열제를 교차복용 시키기도 한다. 이 포스팅을 통해 아기 해열제와 아기 해열제 교차복용 시간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
아기 해열제 종류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이부프로펜 ≒ 덱시부프로펜
아기들이 사용 가능한 해열제에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계열과 이부프로펜(부루펜) 계열이 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의 경우 대표적인 해열진통제로 생후 4개월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복용 이후, 다음 복용까지는 4~6시간 간격을 두어야 하며 1일 5회를 초과해서 복용해서는 안된다. 체중에 따른 아세트아미노펜 복용량은 다음과 같다.
연령 | 몸무게 | 1회 권장 용량(mg) | 1회 권장용량(ml) |
4개월~6개월 | 7 ~ 7.9kg | 80mg | 2.5mL |
7개월~23개월 | 8 ~ 11.9kg | 120mg | 3.5mL |
만 2~3세 | 12 ~ 15.9kg | 160mg | 5mL |
만 4세~6세 | 16 ~ 22.9kg | 240mg | 7.5mL |
만 7세~8세 | 23 ~ 29.9kg | 320mg | 10mL |
만 9세~10세 | 30 ~ 37.9kg | 400mg | 12.5mL |
만 11세 | 38 ~ 42.9kg | 480mg | 15mL |
만 12세 | 43kg 이상 | 640mg | 20mL |
이부프로펜의 경우 3개월 이상 소아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복용 이후 다음 복용까지는 6~8시간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 이부프로펜의 경우 하루 최대 4회까지 복용이 가능하다. 체중에 따른 이부프로펜 복용량은 아래와 같다.
연령 | 몸무게 | 1회 권장 용량(mg) | 1회 권장용량(ml) |
1~2세 | 50~100mg | 3~5mL | |
3~6세 | 100~150mg | 5~8mL | |
7~10세 | 150~200mg | 8~10mL | |
11~14세 | 200~250mg | 10~13mL |
이부프로펜 외에도 덱시부프로펜 성분도 존재한다. 이부프로펜과 무슨 차이가 있을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같은 계열의 성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부프로펜을 자세히 분석하면, 서로 구성은 같지만 입체적 구조가 반대되는 S-이부프로펜과 R-이부프로펜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S-이부프로펜은 실질적 약효를 나타내며, R-이부프로펜은 부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러한 성분중 S-이부프로펜만을 뽑아낸 것이 덱시부프로펜이다. 때문에 덱시부프로펜은 부작용이 적고, 적은 양을 복용해도 대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덱시부프로펜은 생후 6개월 이상부터 사용이 가능하며 복용 간격은 4~6시간으로 한다. 1일 최대 복용 횟수는 4회이다. 덱시부프로펜의 복용량은 다음과 같다(0.4~0.6mL/Kg).
연령 | 몸무게 | 1회 권장 용량(mg) | 1회 권장용량(ml) |
6개월~11개월 | 7.9~9.9Kg | 40~70mg | 3~6mL |
12개월~23개월 | 10.0 ~ 11.9kg | 50~80mg | 4~7mL |
2~3세 | 12 ~ 15.9kg | 60~110mg | 5~9mL |
4~5세 | 16 ~ 20.9kg | 80~145mg | 7~12mL |
6~8세 | 21 ~ 29.9kg | 105~210mg | 9~17mL |
9~10세 | 30 ~ 37.9kg | 150~265mg | 12.5~22mL |
11세 | 38 ~ 42.9kg | 190~300mg | 16~25mL |
12세 | 43kg 이상 | 215~300mg | 18~25mL |
아기 해열제 교차복용 방법
다른 계열 해열제를 2시간 간격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이부프로펜
이부프로펜→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은 같은 계열
아이가 해열제를 먹어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부모는 불안함을 느낀다. 한 가지 해열제를 먹였음에도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면, 다른 계열의 해열제를 교차복용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교차 복용방법은 간단하다. 이미 복용한 것과는 다른 계열의 해열제를 먹이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열제의 효과가 올라오는 데는 30분~1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시간이 지나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적어도 2시간의 간격을 두고 다른 계열의 해열제를 복용시키면 된다.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경우 이부프로펜을, 이부프로펜을 복용한 경우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이다.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은 같은 계열로 구분해서 계산하여야 하니, 잊지 말도록 하자. 해열제를 너무 많이 복용하는 경우 아이 몸에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해열제 교차 복용은 하루에 제한된 횟수를 꼭 지키도록 하자.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최대 5회, 이부프로펜은 최대 4회까지 복용이 가능하다. 열이 가라앉는 다면 교차복용을 지속할 필요가 없으니 아기의 체온 체크에 신경 쓰도록 하자. 많이 복용한다고 좋은 것은 아니니 말이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해열제를 교차 복용하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코로나는 열이 대표적 증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인데, 너무 과하게 교차복용 했다가는 오히려 아이 몸에 무리가 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아기 열 낮추는 법
해열제 외에도 아기 열을 낮추기 위해 물수건을 사용하여 몸을 닦아 주는 방법도 있다. 자세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옷과 기저귀까지 탈의
·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 사용.
· 찬물은 위험. 알코올은 섞어서는 안 된다.
· 수건은 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로 너무 짜지 않는다
· 온몸을 닦아준다. 약간 문지르는 느낌으로
· 열이 떨어질 때까지 쉬지 말고 계속 닦아야 한다(30~45분)
· 물수건을 덮어두어서는 안 된다.
· 아이가 추워서 떨 경우 중단한다. 아이가 힘들어해도 중단한다.
· 물로 닦는 것은 1시간 정도 효과가 지속되며 2시간 후에는 그 효과가 다한다.
이외에도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5cm 정도 욕조에 받아 아이 앉혀 두는 방법도 있다.
아기 해열제 교차복용 정보 찾기 어려운 이유?
해열제는 증상 완화제
열의 원인을 찾는게 우선
해열제 관련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해야
아기 해열제 교차 복용 방법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의외로 제대로 정리된 글은 블로그 외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원인은 식약처의 반응을 보면 짐작할 수 있다.
과거 한 민원인이 식약처에 교차 복용에 대한 안내문을 해열제에 동봉하도록 의무화할 것을 제안한 적이 있다. 하지만 식약처에서는 교차 복용에 대해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는 것이 맞다며 이를 거절하였다. 해열제는 발열 증상의 원인 치료제가 아닌, 증상에 대한 완화 치료제이며, 발열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그 원인에 따라 의료진의 안내를 받는 것이 맞다는 것이다.
[약업신문]아기 해열제 교차복용은 의·약사 전문가 상담사항
아기 해열제에 대한 교차복용법에 대한 통일된 설명서 동봉을 의무화해달라는 민원에 대해 식약처가 '불채택'했다. 해당 사안은 '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가 상의 없이는 오남용 등 더 큰 위험이
m.yakup.com
블로그 인기글
항문농양 항문농양배농술 후기 증상 원인 수술 수술과정 비용
항문과 관련된 질환은 달갑지 않기 마련이다. 은밀하면서도 위생적으로도 꺼려지는 곳이며, 신경이 모여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질병이라도 생기면 크나큰 고통을 감수해야만 한다. 오늘은 항문질환 중 하나인 항문 농양의 원인 증상 수술 비용 후기 등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항문주위 농양 항문주위 농양은 항문 주위 조직에 고름이 생긴 상태이다. 즉 항문 주위 농양은 급성 염증 상태인 것이다. 항문 농양은 외과적 수술로 해결이 가능하다. 항문 농양 증상 외관상으로는 항문 주위 혹을 발견할 수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불편할 뿐이지만 이를 방치하면 화끈거리면서 칼로 쑤시는 듯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항문 통증, 발열, 부종이 나타나며, 고름이 가득 찬 경우 고름이 흘러나오거나 속옷에 묻을 수도 있다. ..
burja.co.kr
노시부 콧물흡입기 모델 사용법 팁 석션팁 노시부 프로 노시부 중고 정리 리뷰 추천
아이를 키우다 보면, 아이 코막힘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생긴다. 흔히 말하는 코뻥이나 생리 식염수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아이가 제대로 협조하지 못하거나 반항하는 경우 효과를 보기 어렵다. 이럴 때 사용하기 좋은 노시부 콧물흡입기에 대하여 리뷰해보려고 한다. 노시부 콧물흡입기 노시부 콧물흡입기는 비강 내 콧물과 분비물을 제거해 줄 수 있는 의료기기 이다. 노시부 콧물 흡입기는 노시부 프로(Nosiboo Pro) 와 노시부 에코(Nosiboo Eco) 두 모델이 존재한다.(흔히 노시부는 노시부 프로를 지칭한다) 노시부 프로(Nosiboo Pro) 전동식 흡인기이다. 스위치만 누르면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기기처럼 자동으로 콧물을 빨아들이는 모델이다. 흔히 사용하는 이른바 코뻥에 비해 신속하게 흡입이 가능하며..
burja.co.kr
페라미플루 특징 효능 효과 용법 동일성분의약품 가격 부작용 총정리
페라미플루는 독감치료제로, 경구제 형태인 타미플루와는 다르게 수액 형태로 맞을 수 있는 약품이다. 비교적 복용이 쉬운 타미플루에 비해 정맥주사로 맞아야 하기 때문에 선호되지는 않았지만, 그 편리성으로 인해 주목받은 약품이다. 오늘은 페라미플루 특징과 용법 동일성분 의약품 가격 타미플루와의 차이점 부작용 등에 포스팅해보려 한다. 페라미플루주 페라미플루(페라미비르,peramivir)는 2010년에 출시된 의약품으로, GC 녹십자가 바이오크리스트(BioCryst)에서 도입한 의약품이다. 해당 약물은 세계 최초로 정맥주사용으로 개발된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이다. 뉴라미니다아제란 독감 바이러스가 세포 안에서 증식한 이후, 숙주 세포를 뚫고 나오는데 이용되는 효소이다. 페라미플루는 이러한 뉴리미니다아제를 억제하여 증..
burja.co.kr
타다라필 일명 시알리스 특징 약리기전 제품 처방 직구 가격 효능 복용법 부작용
본 경기에 들어갔는데, 선수가 제대로 움직이지 못한다면 그것 만큼 답답한 것이 없을 것이다. 타다리필은 발기부전 치료제로, 고개 숙인 남성을 위해 만들어진 약품이다. 이 포스팅을 통해 타다라필 성분 제품과 효능 효과 복용법 부작용 그리고 실데나필 제제와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타다라필 타다라필은 발기부전 치료제의 성분명이다. 일라이 릴리에서 개발하여 판매하였으며, 시알리스라는 제품명으로 유명하다. 그 특허가 만료된 이후로는 수많은 제약사에서 제네릭 약품을 양산하고 있으며, 비아그라로 유명한 실데나필 제제와 함께 남성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타다라필 약리기전 발기는 성적으로 흥분시, 음경해면체에서 산화질소가 유리되면서 시작된다. 산화질소는 구아틸레이트 사이클레이즈(gua..
burja.co.kr
실데나필 일명 비아그라 특징 효능 제형 종류 복용법 음주 지속시간 타다라필과 비교 동시복용 가격 처방 부작용까지 한꺼번에 알아보자
실데나필은 비아그라의 성분명이다. 비아그라는 시장에 출시된 이후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랜기간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은 선도해 왔다. 특허가 만료된 이후에는 수많은 제약사들이 실데나필 복제약을 발매하였으며, 여전히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오늘은 실데나필의 특징과 효능 제형 종류 복용법 지속시간 가격 처방 구입 부작용 등을 포스팅해보려 한다. 실데나필 정확한 성분명은 실데나필 시트르산염이다. 실데나필은 본디 심장질환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효과는 그다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버려질 뻔한 약품이다. 하지만 부작용으로 발기상태가 지속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이를 활용해 발기부전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실데나필 시트로산염은 체내의 cGMP의 농도를 높게 유지시켜 효능을 나타낸다. 사람이 성적으로 흥분을 하게..
burja.co.kr
미녹시딜 고혈압약 탈모치료제 원리 효과 사용방법 부작용 두통 제품 장단점
미녹시딜은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와 함께 FDA에서 승인받은 탈모 치료제 두 가지 중 하나이다. 피나스테리드는 병원에서 처방받는 것이 필요하지만, 미녹시딜은 일반의약품으로 처방 없이도 구입이 가능하다. 오늘은 탈모치료제 미녹시딜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미녹시딜 궤양치료제→고혈압약→탈모치료제 고혈압 환자의 다모증에 주목 정제와 외용제 존재 일명 바르는 발모제로 불리운다. FDA에서는 탈모치료제로 딱 두 가지를 승인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미녹시딜이다. 미녹시딜은 1950년 미국에서 궤양 치료제로 발매가 되었다. 하지만 궤양 치료 보다는 혈관 확장 기능이 뛰어났고, 개량을 거쳐 로니텐이라는 고혈압 약물로 재발매되었다. 이때 이 약을 복용한 고혈압 환자들에게 뜻밖의 부작용이 나타났는데, 바로 다모증이었다. 이..
burja.co.kr
댓글